Multilevel Analysis Lecture Note

다층분석 특강 자료 공유합니다. HLM을 사용한 공동 연구 프로젝트에 참여한 다른 교수님들과 논의할 때 활용하려고 제작했습니다. 혹시 Multilevel Analysis나 Growth Model에 관심이 있으시면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포함된 Microsoft Office 프레젠테이션, 제공: Office Online

엑셀 날짜 시간 넣기

엑셀에 날짜 시각 넣으려면? =now() 이렇게 하시지만, 이것은 현재 시스템 정보를 읽어오기 때문에 매번 최신 데이터로 업데이트 됩니다. 연구 노트를 쓰려면 딱 고정된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어떻게 하나... 셀을 클릭하고 Ctrl (+) ; (한 칸 띄우고) Ctrl (+) Shift (+) ; 그럼 날짜와 시각이 정적 데이터로 찍힙니다.

변수 표기법에 대하여

제가 서울대학교 박진수 교수님께서 가르치신 Java 수업을 들었을 때 입니다. 난생 처음 변수 표기법을 배웠는데 아주 까다롭게 하셔서 '아니 그냥 이름인데...' 이런 생각을 한 적이 있습니다. 살다보니 까다로운 박진수 교수님께 고마움을 느낍니다. R에서 자료나 함수를 사용하면 반드시 이름(식별자, identifier)을 붙입니다. 변수나 상수, 함수, 클래스 뭐든 마찬가지입니다. 이름을 붙이는 관습에는 크게 3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먼저 파스칼(Pascal) 표기법부터 생각해 봅시다. 대문자로 시작 단어의 조합이면 각 단어는 대문자로 시작 예) Database DataProcessing CreateButton() 파스칼 방법은 읽기 쉽게 여러 단어를 연결하는 방법입니다. 다음으로 헝가리안(Hungarian) 표기법(notation)이 있습니다. 이 방법은 파스칼 표기법에 변수의 데이터형(data type)을 함께 기록하는 방법입니다. R보다는 C나 Java에 도움이 되는 방법입니다. 정수: n, l 실수: f, d 문자: c, s 인덱스: i unsinged: u 예) nRanking, lTotalHit fAverageScore, dDistance cGender, sName iPositionOnQueue unAge #unsigned 정수입니다. 마지막으로 캐멀(Camel) 표기법입니다. 변수나 함수는 첫 문자는 소문자로 시작 클래스는 첫 문자가 대문자로 시작 다음 문자부터는 대문자로 시작 함수나 매쏘드는 동사로 시작 예) MyClass #클래스 myName #변수 createMyName #매쏘드 캐멀 표기법에 헝가리안 표기법을 합쳐서 사용할 수도 있지만 이때는 언더스코어(_)를 붙여 뒤에 표기합니다. 예) myName_s age_un totalAmountMoney_d 관습적으로 of, the, a, a...

Hollywood Labor

2016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15년 한 해, 수고 많으셨습니다. 2016년, 올 해는 조금이라도 더 살기 좋은 세상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정의로움과 원칙이 통하는 사회, 쉽게 겁을 먹고 다른 사람을 혼내기보다 담대하게 나갈 수 있는 사람들이 존경을 받는 사회가 되기를 바랍니다. 김태경 배상

R 3.2.3이 공개되었습니다

반년이 벌써 지났습니다. 새로운 R 버전이 나왔네요! 매번 귀찮게 R을 설치해야 하니 짜증도 날텐데.. Windows() 사용자라면 좀 간단한 방법이 있어 소개합니다. R Gui를 실행합니다(RStudio 아닙니다!). R> install.packages("installr") R> library(installr) R> updateR() R부터 패키지까지 몽땅 업뎃시킬 수 있습니다.

R에서 MySQL 사용하기: dplyr 패키지 활용 방법

흔히 R에서 MySQL을 사용하려면 RMySQL 패키지를 활용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채택된다. 그러나 이 방법은 복잡한 SQL 구문을 사용해야 해서 매우 귀찮다. 당신이 SQL도 잘 모르겠고 RMySQL의 속도도 별로 마음에 들지 않는데다 경우에 따라서 쿼리를 여러 가지로 파생해서 사용해야 한다면 어떻게 할까? 내가 권장하는 정답은 dplyr이다. 사실, 이 포스트는 ICIS2015에 가서 어떤 분이 한 질문 때문에 쓴다. 이 분께서 나에게 R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어떻게 쓰냐고 질문하셨는데 당시 불친절하게도 DBI기반의 패키지나 dplyr을 쓰시면 됩니다라고 했다. -_-;;; 생각해 보니 dplyr을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블로그에 올려두지 않았다는 것이 불현듯 오늘 아침 떠올라 긴급 포스팅을 한다. dplyr 설치하기 R> install.packages("dplyr") 설치가 되면 R에서 MySQL을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준비가 다 끝난다. 이제 여러분 컴퓨터에 MySQL이 설치되어 있고, 서버가 실행 중이며, localhost를 사용하고, user의 ID가 user 패스워드는 password라고 가정하자. 이때 데이터베이스 이름은 test_db라고 하자. MySQL 연결하기/끊기 R> con = src_mysql(dbname="test_db", user="user",password="password",host="localhost") 함수 src_mysql (source from mysql)을 실행하여 con에 할당한다. 연결을 끊는 방법은 con을 메모리에서 해제하는 것이다. R> rm(con) MySQL 쿼리 dplyr 패키지는 chain rule을 이용한다. 보다 자세한 것은 이 블로그의 다른 글을 참조. 바로가기 R> test_table_ref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