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 2020의 게시물 표시

지역화폐 도입 경제 효과에 관한 조세연의 분석에 관하여

 (참고 - 보고서 다운로드) 평소에 이재명 경지지사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는 사람이지만, 너무 신박하고 말이 안되는 논리로 쓴 보고서라서 아래에 핵심 쟁점과 질문들을 정리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링크를 클릭해서 읽어보세요. 정말 너무 재밌습니다. 핵심 쟁점 지역화폐의 경제적 효과 (긍정)대형마트의 매출액이 지역 내 소상공인에게 이전되었는가? (부정)외부지역에서 소비 감소 (지역화폐는 이를 사용하지 못하는 곳에서는 유통이 되지 않음) (부정)인접 지역에서도 지역화폐 또 발행해야 함 (한 지역에서 사용하지 못하는 지역화폐의 특성 상, 인접 지역에서도 그들만의 지역화폐가 발행됨 - 조세연 연구의 핵심) (부정)보조금으로 인한 사중손실(dead-weight loss) (사중손실이란? 이익을 얻기 위해 반드시 지급해야 하는 대가, 즉 경영학에서의 원가(cost) 개념 - 왜 경제학자들은 이것을 loss라는 부정적 단어로 표현할까?) 현금과 비교할 때 사용처가 적다. (보조금이란 유통에 따른 비용을 국가가 부담한다는 의미, 즉 현금 1만원 발행했을 때 예를 보면 이를 제작하고 유통하고 관리하는 비용이 반드시 발생됨.) (많은 사용처가 있을 수록 단위당 보조금은 적어진다. 즉 현금 1만원에 사중손실이 5000원이라고 해도 유통처가 100 곳일 경우 단위당 사중손실은 50원, 1000 곳이면 단위당 사중손실은 1원) 사중손실 = 소비자 후생의 감소분 (조세연 보고서에 소비자 1인당 marginal loss에 대한 설명이 없어 보충함) 사중손실을 0으로 만들 수 없기 때문에 1회 비용 지출 이후 N번 이익이라는 방식으로 이해해야 함 즉 위에서도 언급했듯, 현금 1만원에 사중손실이 5000원이라고 해도 유통처가 100 곳일 경우 단위당 사중손실은 50원, 1000 곳이면 단위당 사중손실은 1원, 이런 식으로 사용처를 무한대로 키우면 이론적으로 사중손실을 0에 근접 (부정)지역화폐 발행의 추가 비용 동네마트는 대형마트보다 값도 비싸고 제품도 다양하지 않다. 지역화폐를 현금...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 관계의 의미, composite

 오늘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클래스 간의 관계에 대해서 이야기해보겠습니다. 객체지향은 뭘까요? 객체를 생각하며 프로그래밍하는 방법이라고 이해합시다. 보다 철학적이고 복잡한 설명은 접어둡니다. 여기서는 객체라는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자유롭게 창작하는 방법을 이야기합니다. 객체(object)는 어떤 설계도에서 탄생한 구체적인 소스코드입니다. 요즘 인기있는 파이썬으로 설명을 하려고 합니다. 여러분에게 주사위를 생각하라는 과제가 주어졌다고 합시다. 그럼 주사위는 어떻게 설계할까를 생각합니다. 먼저 주사위는 ‘주사위’라는 구체적인 사물입니다. class 주사위:   pass 주사위에 아무것도 적지 않아서 일단 pass라고 했습니다. 주사위는 여섯 개의 면이 있고 각각의 면에 숫자가 적혀져 있는 사물입니다. 이렇게 주사위의 존재 실체를 생각합니다. 즉, 주사위가 탄생하면 여섯 개의 면도 같이 태어납니다. 이 면들을 다음과 같이 했다고 합시다. class 측면:   def __init__(self,number):     self.number=number 가령 1부터 6까지 쓰여진 측면 6개는 다음과 같이 태어납니다. 측면1=측면(1) 측면2=측면(2) 측면3=측면(3) 측면4=측면(4) 측면5=측면(5) 측면6=측면(6) 이제 주사위와 측면의 관계를 말하고자 합니다. 자, 여러분 위에 쓰인 코드를 잘 보면 이상하지 않습니까? 주사위의 측면은 어떻게 존재할까요? 주사위가 없이 측면1=측면(1)과 같이 존재할 수 있을까요? 주사위의 측면은 주사위의 본질적인 것이므로 주사위와 주사위의 측면의 존재적 차이가 없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즉, 숫자 6개가 없는 주사위는 주사위가 아니고 주사위에 붙어 있지 않은 측면은 상상하기 어렵습니다. 이처럼 존재적으로 강한 의존서을 가진다는 말은 주사위가 태어날 때 측면 6개도 함께 태어나고 주사위가 사라질 때 이들의 의미도 사라진다는 뜻입니다. 따라서 class 주사위는, class 주사위: ...

R MariaDB 사용하여 초간단 데이터 입력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역시 R을 사용하는 것이다. INSERT INTO로 복잡하게 다룰 것 없이 있는 테이블을 그냥 DB에 밀어넣고자 한다면 dbAppendTable()을 쓴다. MariaDB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포스트이지만 MySQL도 마찬가지다. 코드 예를 아래에 써 둔다. #loading data library(dplyr) library(RMariaDB) library(DBI) # ****은 가려진 부분이다. # 각자에 맞는 내용을 적기 바란다. con <- dbConnect(MariaDB(),user='root',password='****', host='*********',port=3301, dbname='*****') #스키마 복사 table_name_in_db <- 'matcars_in_db' copy_to(con,mtcars,table_name_in_db,temporary=FALSE) #mtcars가 데이터라고 하자. #데이터 입력 dbAppendTable(con,table_name_in_db,mtcars) #데이터 베이스 접속 종료 dbDisconnect(con)